로드 자전거에 두고 스프로킷의 수치는 많은 것이 유리?
로드 바이크에 한정되지 않습니다만, 변속기가 있는 자전거에는 스프라켓이 붙어 있습니다.
스프로킷을 선택할 때는 "12-28T"등의 수치가 있습니다.
이 수치가 무엇인지 모르게 질문하면, "스프로킷의 수치는 높은 쪽이 좋은 것인가, 낮은 쪽이 좋은 것인가?"라고 하는 상태가 되어 버립니다.
알고 있는 사람으로부터 하면 「기묘한 질문」이 되어 버립니다.
여기에서는 스프로킷 수치의 의미를 포함하여 올바른 선택 방법과 포인트를 알려드립니다.
기어인지 스프로킷인지
변속기라고 하면, 「기어」라고 하는 쪽이 많습니다.
그런 가운데, 부품 단체에서는 「스프로킷」이라고 부르는 분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호칭이 「기어」로 조금 전문적으로 말한 것이 「스프로킷」입니까.
그것은 다릅니다.
실은, 기계 업계에서는 기어와 스프로킷은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습니다.
기어끼리 맞물리는 것이 「기어」로, 기어와 체인이 맞물리는 것이 「스프로킷」입니다.
자전거의 기구를 생각하면, 「기어」는 잘못된 사용법으로, 올바르게는 「스프로킷」입니다.
다만, 일상생활에 있어서 기어끼리가 맞물리는 장면을 보는 것은 거의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일본이 안전에 대해 의식하고 있기 때문에, 기어끼리가 맞물리는 장소에는 반드시 커버를 해 사고를 막고 있기 때문입니다.
친숙함이 있기 때문에 「기어」에서도 의미가 통하기 때문에 OK라고 필자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스테이플이 맞아요」라고 일단 정정되면 원활한 인간 관계는 구축할 수 없습니다.
익숙한 호칭으로 오해없이 전해지면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올바른 이야기를 한다면, 어쩐지 페달측의 기어를 「크랭크」, 리어측의 기어를 「스프로킷」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사이트도 있습니다만, 어디까지나 스프라켓과는 이가 붙은 부품으로, 체인과 맞물리는 부품을 가리킵니다.
「크랭크」란, 아래 그림과 같이 2개소 이상 구부러진 기구를 가리킵니다.
크랭크측의 스프라켓이므로, 「크랭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만, 그것을 모르는 분은 전방의 기어를 「크랭크」, 리어를 「스프로킷」이라고 오해해 기억해 버리는 것 같습니다.
크랭크측은 크랭크 암과 스프로킷이 일체가 되어 팔리고 있는 것도 있으므로, 더욱 오해를 낳고 있다고 필자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스프라켓의 수치 의미
스프로킷에는 숫자가 있습니다.
「12-25T」라든가 「11-34T」라든지입니다.
"T"는 Teeth, 즉 치아 수의 의미입니다.
25T는 치아 수가 25장, 34T는 치아가 34장.
알고 버리면 매우 간단합니다.
크랭크측의 스프로킷은, 외측 쪽이, 직경이 크고 「아우터」라고 부르고, 프레임측은 직경이 작고 「이너」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12-25T」는, 이너가 12장, 아우터가 25장이라고 말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고 가정합니다.
「SHIMANO 105 FC-R7000」
「FC-R7000」이라고 하면, 「SHIMANO 105 R7000 시리즈」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체인링 콤비네이션을 보면, 「50-34T」, 「52-36T」, 「53-39T」의 3 타입이 있다고 합니다.
기어는 수치가 커질수록 '50-34T'와 '53-39T'를 비교하면 '53-39T'가 더 무겁습니다. ※리어는 변경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50-34T', '52-36T', '53-39T'의 3가지 패턴만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스프로킷은 단품으로도 살 수 있으므로, 「20-39T」등 제일 무거운 곳과, 가장 가벼운 곳을 취하고 싶어지는 분도 계실지도 모릅니다만, 시마노의 경우 프런트 디레일러(변속기)가 16매 차이 까지만 대응하고 있습니다.
「20-39T」의 경우, 39-20=19매 차이가 되어, 캐퍼(변속 가능 범위)를 넘습니다.
그럼, 반대로 「39-50T」와 같이 하고 싶은 경우는, 50-39=11매 차이이기 때문에 카파 이내입니다.
그런데, 기본의 3개 의외이므로, 꽤 잘 조정할 수 없습니다.
게다가, 다른 치수의 사람을 가져오면, 원래 체인과 치아가 맞물리지 않게 됩니다.
기어와 스프로킷은 "서로 소"의 관계가 필요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자주 사용하는 치아와 별로 사용하지 않는 치아가 생기면, 기어나 스프로킷은 통증 방법에 차이가 생기고 부드럽게 회전하지 않게 됩니다.
스프로킷 선택
크랭크측의 스프로킷을 선택하는 경우는, 「50-34T」, 「52-36T」, 「53-39T」의 3패턴으로부터 선택하면 좋은 것을 알았습니다만, 어느 것이 자신에게 매치하고 있는지 생각해야합니다.
프런트의 기어를 작게 해, 리어의 기어를 크게 하면, 페달을 젓는 저항이 적고, 가벼워집니다.
즉, 언덕길을 오르기에 적합합니다.
속에 말하는 「케이던스」입니다.
케이던스란, 본래 「회전수」의 일이므로, 단체에서는 의미를 가지지 않습니다만, 이 경우는 페달의 저항을 떨어뜨려 가능한 한 빨리 회전시키는 것으로 비탈을 오른다는 의미가 됩니다.
그 경우, 「50-34T」의 34T가 제일 작기 때문에, 이것을 선택하게 됩니다.
반대로 프론트 기어를 크게 하고 리어를 작게 하면 페달의 저항은 최대가 되지만 페달 1회전에 대한 리어 타이어의 회전수가 최대가 되므로 회전속도는 최대가 됩니다.
사이클링 로드와 같이, 고속 주행이 가능하고, 신호 정지나 사람의 돌출 등이 없는 환경의 경우가 이것입니다.
「53-39T」의 53T를 사용하면 좋을 것입니다.
항상 언덕, 항상 사이클링 로드처럼 극단적인 조건은 흔히 없습니다.
그래서 중간의 '52-36T'를 취하는 방법, 보통 달리는 길은 비탈길이 많기 때문에 '50-34T'를 선택하는 방법, 교외를 달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53-39T'를 선택하는 방법 등 나온다 입니다.
자신의 용도에 따라 선택하십시오.
외부 라이터:오쿠노 아키라